[Spring] BeanDefinition에 대한 나름의 이해
2023. 9. 21. 16:34ㆍSpring
BeanDefinition은 설정 정보로부터 읽어온 bean의 메타 데이터를 추상화한다.
ApplicationContext interface는 getBeanDefinitionNames() method가 없다.
컨테이너에 bean을 등록하는 방법에는 크게 두가지가 있다.
직접적으로 bean을 등록하는 방법이 있고 factoryBean을 통해 등록하는 방법이 있다.
AppConfig.class와 같이 자바로 설정정보를 저장하면 factoryBean을 통해 등록한다.
factoryBeanName=appConfig가 되고 factroyMethodName은 config 파일 내에 있는 method의 이름(빈의 이름)이 된다.
xml로 하게 되면 factoryBean을 이용하지 않는다.
beanDefinitionName은 실제 bean의 이름이고 beanDefinition 객체는 Generic과 Root 등이다.
Reference
학습 페이지
www.inflearn.com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Singleton 패턴과 문제점 (0) | 2023.09.21 |
---|---|
[Spring] 스프링 없는 순수한 DI 컨테이너의 문제점 (0) | 2023.09.21 |
[Spring] xml 설정 정보에 대한 나름의 이해 (0) | 2023.09.20 |
[Spring] BeanFactory와 ApplicationContext에 대한 나름의 이해 (0) | 2023.09.20 |
[Spring] bean 조회에 대한 나름의 이해 (0) | 2023.09.20 |